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아이를 낳으면 720만원? (자녀 출산 무주택 가구 주거 지원비 신청방법, 신청시기, 지원 금액, 지원금 지급 시기, 제출서류)
    생활정보 시리즈 2025. 5. 19. 23:10
    반응형

    2025 서울시 자녀출산 무주택가구 주거비 지원 신청방법|최대 720만 원 받는 조건은?

    “출산하고 서울 떠나려던 찰나, 이런 제도가 생겼다는데?”
    “우리도 해당되나? 어떻게 신청하지?”

    서울시가 무주택 가구에 자녀 출산 시 최대 720만 원의 주거비를 지원하는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서울을 떠나지 않고 아이를 키울 수 있도록
    ‘출산가정 주거비 차액’을 2년 이상 직접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이 글에서는 지원대상, 금액, 신청방법, 신청시기, 유의사항
    서울시 발표 기준에 따라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반응형

    👶 어떤 제도인가요?

    ‘자녀출산 무주택가구 주거비 지원사업’은
    서울에 거주하는 무주택가구가 자녀를 출산했을 경우,
    최대 2년(연장 시 4년) 동안 매월 최대 30만 원씩 주거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 월 최대 30만 원 × 최대 24개월 = 최대 720만 원 지원
    다태아, 추가 출산 시 지원기간 자동 연장


    ✅ 지원대상 요약표

    지원대상에 대해 표를 통해 알아보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구분  기준
    출산일 2025년 1월 1일 이후 출산한 가구
    소득요건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2024년 4인 기준: 약 1,100만 원 이하)
    거주요건 서울시 거주 무주택 가구 + 임차주택 거주자
    주택요건 전세가 3억 원 이하 또는 월세 130만 원 이하 주택
    임대주택 제외 SH·LH 등 공공임대 입주자는 제외
    보증금·월세 합산 조건 반전세는 환산금액 + 월세가 130만 원 이하여야 함

    서울주택공사 등 공공임대 입주자는 신청대상에서 제외되고, 

    반전세, 월세 가구는 전세 보증금 월세 환산액과 월세액을 합산해 130만원 이하여야 한다는 점이 눈에 띄는 특징입니다. 

     

    💸 얼마까지 받을 수 있나요?

     

    항목 내용
    기본 지원기간 출산 후 2년간
    월 지원금 전세이자 또는 월세 납부액 기준, 월 최대 30만 원까지
    추가 출산 시 연장 출생 1명당 1년 / 쌍둥이 1년 / 삼둥이 이상 2년 연장
    최대 지원기간 4년(48개월)까지 가능
     

    예)
    전세대출이자 월 22만 원 지출 중인 경우 → 매월 22만 원 지급
    월세 120만 원 지출 중인 경우 → 매월 30만 원 한도 내 지원


    📝 신청 방법은?

     

    📌 온라인 신청

    신청은 아래의 사이트를 통해서 신청합니다. 글을 쓰는 지금은 19일인데, 아직 지원 신청하기 버튼은 활성화되지 않았네요. 

    • 서울시 ‘몽땅정보만능키’ 홈페이지
      👉 https://umppa.seoul.go.kr
    • 신청 메뉴: “자녀출산 무주택가구 주거비 지원” 클릭
    • 공인인증서 또는 공동인증서 로그인 필요

     


    🗓 신청 시기 및 일정(지원금 지급 시기)

    서울시 자녀 출산 무주택 가구 주거비 신청 시기 및 일정, 지원금 지급시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분 일정
    신청대상 2025년 1월 1일 ~ 6월 30일 출산가구
    신청기간 2025년 5월 20일(월) 오전 9시 ~ 7월 31일(목)
    심사기간 8월 ~ 11월 (자격 검증 및 서류심사)
    지원금 지급 2025년 12월 중 1회차(6개월분) 일괄 지급
     

    📌 주의사항

    • 최초 신청이 늦어지면 첫 지급이 연말로 미뤄질 수 있습니다.
    • ‘자녀 출산일’ 기준이므로, 1월에 출산했더라도 7월까지 신청해야 합니다.

    📂 제출해야 하는 서류

    서울시 자녀 출산 무주택 가구 주거비 신청시 제출서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주민등록등본
    • 출생증명서
    • 전세대출이자 내역서 또는 월세 납부 영수증
    • 임대차계약서
    • 무주택확인서(주민등록상 세대원 전체 확인)
    • 소득증빙 서류(가구원 전체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등)

    📌 전세의 경우 반드시 대출이자 내역 제출이 필요합니다.


    ❓ 자주 묻는 질문 Q&A

    Q1. 공공임대 입주 중인데 신청할 수 있나요?
    불가합니다. SH, LH 등 공공임대는 지원 제외 대상입니다.

    Q2. 반전세인데 월세 계산은 어떻게 하나요?
    → 전세보증금을 월세로 환산해 전세환산월세 + 월세 = 130만 원 이하여야 함

    Q3. 신청 기간 놓치면 다시 받을 수 있나요?
    → 아니요. 해당 기간 내 신청하지 않으면 올해분 지원이 불가합니다.

    Q4. 지원금은 어디로 들어오나요?
    신청자 명의 계좌로 현금 지급됩니다.


    📌 한눈에 정리: 신청 체크리스트

    ✅ 2025년 1월 이후 자녀 출산했나요?
    ✅ 무주택 상태인가요?
    ✅ 현재 서울 거주 중인가요?
    ✅ 전세 3억 이하 또는 월세 130만 이하인가요?
    ✅ 기한 내 신청하셨나요? (5.20~7.31)

    위 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최대 720만 원까지 주거비 직접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에 거주하는 무주택 청년·신혼부부에게
    이번 제도가 서울을 떠나지 않아도 아이를 키울 수 있는 작은 기반이 되길 바랍니다.

    신청 마감일은 7월 31일입니다. 늦지 않게 준비하세요!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