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예규
-
예정가격이란?(Feat. 제조원가 계산, 계약예규 예정가격작성기준, 예정가격 작성법)공공계약 정보 시리즈 2025. 5. 14. 20:14
공공계약에서 예정가격이란 단어를 많이 보게 되죠. 추정가격(feat. 추정금액, 복수 예비가격, 예정가격, 낙찰하한가) 추정가격(feat. 추정금액, 복수 예비가격, 예정가격, 낙찰하한가)공공계약 실무를 처음 맡게 되면, 가장 헷갈리는 것 중 하나가 바로 ‘가격’ 개념이다.입찰공고 하나 작성하려고 보니 추정가격, 기초금액, 예정가격, 낙찰하한가…뭐가 뭔지 다 비슷해 보이지lee-v.com예정가격이란, 낙찰자를 결정하는 기준 금액을 말합니다. 계약담당 공무원, 공공기관 계약 담당자는 발주 및 공고 전 이 예정가격을 정하게 되고, 정한 예정가격은 입찰 참여업체에 공개되지 않습니다. 입찰에서 매우 중요한 이 예정가격은 보통 원가계산법으로 산출되게 되는데요, 원가계산법은 크게 제조원가계산, 공사원가계산, 용역..
-
2025년 공동계약방식(Feat. 공동수급체, 공동이행, 분담이행공공계약 정보 시리즈 2025. 4. 23. 21:45
공동수급체와 분담이행방식, 실무자가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리공공입찰에서 자주 등장하는 개념 중 하나가 공동수급체입니다. 특히 공동이행방식과 분담이행방식에 대한 질문은 실무 현장에서 끊이지 않죠. 하지만 많은 분들이 이 둘의 차이를 헷갈려하거나, 계약서 작성 시 놓치는 부분이 많습니다.오늘은 실무자라면 꼭 알고 있어야 할 공동수급체의 분담이행방식에 대해, 핵심만 뽑아 정리해드립니다.공동이행방식과 분담이행방식, 뭐가 다를까?공동수급체는 두 개 이상의 업체가 연합하여 하나의 계약을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이 공동수급체는 다시 공동이행방식과 분담이행방식으로 나뉩니다.구분 공동이행방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