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의계약 조건
-
수의계약 가능한 경우 총정리|지방계약법 기준 완벽 정리 (국가계약법 수의계약과 비교)공공계약 정보 시리즈 2025. 5. 29. 20:45
수의계약 가능한 경우 총정리|지방계약법 기준 완벽 정리공공계약의 원칙은 경쟁입찰입니다.하지만 예외도 분명 존재합니다.바로 ‘수의계약(隨意契約)’.수의계약은 계약 상대자를 입찰 없이 직접 선정하는 방식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선 지방계약법을 기준으로한 수의계약이 가능한 경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수의계약이란?지방계약법 제25조, 시행령 제25조에 근거하여, 일정한 경우에만 허용되는 비입찰 계약방식.경쟁절차 없이 계약 상대자를 선정공정성 확보가 관건반드시 법에서 정한 사유에 해당해야 함수의계약이란? (feat. 감사지적, 국가기관 담당자, 2인 이상 견적) 수의계약이란? (feat. 감사지적, 국가기관 담당자, 2인 이상 견적)국가기관 수의계약 – 실무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가이드국가기관도 우리 일상..
-
2025년 수의계약 1인 견적 제출(Feat. 국가계약법 26조, 수의계약, 1인 견적 제출)공공계약 정보 시리즈 2025. 4. 23. 20:28
공공계약 업무를 하다보면 수의계약시 꼭 두 업체의 견적서를 받아야하는지 고민이 됩니다. 절차가 간단하고 업체를 비교적 쉽게 결정할 수 있는 수의계약에서도 두 업체를 비교해야하니까요.그렇다면 수의계약에서 1인 견적, 과연 언제 허용될까요?예산이 적거나, 거래처가 한 곳뿐이라 해도 무조건 단독 계약은 안 됩니다.「국가계약법 시행령」 제30조, 및 지방계약법 시행령 제30조따라1인 견적이 허용되는 정확한 조건을 실무 중심으로 정리해드립니다.💡 수의계약이란? 법적 정의부터 확인수의계약이란? (feat. 감사지적, 국가기관 담당자, 2인 이상 견적) 수의계약이란? (feat. 감사지적, 국가기관 담당자, 2인 이상 견적)국가기관 수의계약 – 실무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가이드국가기관도 우리 일상과 마찬가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