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청
-
부정당업자란?(Feat. 국가계약법 제27조, 부정당업자 지정 사유,부정당업자 제재, 부정당업자 면제 방법)공공계약 정보 시리즈 2025. 5. 9. 20:39
🚨 부정당업자란? 국가계약법 제27조 완전정복 | 입찰제한 사유 총정리입찰참가자격 제한, 부정당업자 지정, 2년간 입찰금지...공공계약 실무를 하다 보면 가장 민감하게 다뤄야 할 주제가 바로 부정당업자 제도입니다.공공기관 담당자는 계약 체결시 상대 업체가 부정당업자인지를 명확하게 확인해야하고,업체 측은 부정당업자로 지정되지 않기 위해 체크하고 노력해야하죠.이번 글에서는 [국가계약법 제27조]를 기준으로 부정당업자의 의미, 지정 사유, 페널티(제재 내용)를 알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부정당업자란?부정당업자란 공공계약에서 부정행위나 중대한 위반을 저지른 업체를 말합니다.이들은 최대 2년간 입찰에 참가할 수 없도록 제재되며, 수의계약도 원칙적으로 불가능합니다.📌 부정당업자로 지정되는 9가지 사유[국가계약..
-
2025년 나라장터 입찰보증금(Feat. 조달청 입찰보증금, 납부 방법, 입찰보증금 면제)공공계약 정보 시리즈 2025. 5. 6. 15:43
들어가며 – 왜 입찰보증금이 중요할까?공공입찰은 매출을 키우는 좋은 기회지만, 입찰보증금 규정을 모르고 참여했다가 입찰 무효 처리되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입찰보증금의 면제 기준, 납부 방법, 제출서류, 유효기간 등을 실무자 중심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입찰보증금이란? – ‘계약의사’를 증명하는 담보금입찰보증금은 입찰 후 계약을 체결하지 않는 경우에 대비한 이행 담보금입니다. 즉, 입찰자에게 입찰 참여시 보증금을 납부하게 해 추후 낙찰자로 선정이 되고나서 계약 체결을 이행하지 않을 시 이미 납부한 보증금을 몰수하여 부실업자를 막고 공공계약의 신뢰성을 유지하고 행정 낭비를 막는 방안입니다. 관련 규정: 「국가계약법 시행령」 제37조기준 금액: 입찰금액의 5% 이상귀속 사유: 낙찰 후 계약 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