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가 들어설때마다 국정과제라는 것을 발표하죠. 오늘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이후 국정운영의 방향을 담은 국정과제 123개를 발표했고, 이를 12대 중점과제로 나누어 경제, 일자리, 저출산, 외교·안보 등 국가 핵심 어젠다를 제시했습니다. 오늘은 국정과제란 무엇인지, 또 새 정부의 국정과제를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국정과제란 새 정부가 들어서서 임기동안 추진하기로 정한 과제, 즉 국정 운영의 전략이자 로드맵입니다. 이번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은 총 12개 중점과제와 123개 세부 국정과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경제·사회·문화·외교 전반에 걸친 국가 운영 방향을 담은 종합 설계도입니다.
반응형
12대 중점과제 한눈에 보기
잠재성장률 반등을 위한 진짜 성장 전략
코리아 프리미엄 실현으로 코스피 5천시대 도약
AI 3대 강국 도약으로 여는 모두의 AI 시대
에너지고속도로를 통해 경제성장과 탄소중립함께 달성
국민의 삶을 돌보는 기본사회
인구위기 적극 대응으로 지속 균형 성장
글로벌 소프트파워 5대 문화강국 실현
국가의 성장을 이끄는 인재 강국
재난과 사고로부터 안전한 생명존중 사회
자치분권기반의 5극 3특 중심국가 균형성장
지속 가능한 한반도 평화공존 기반 구축
참여와 소통의 국정운영으로 국민통합의 정치 실현
국정과제
123개 국정과제 요약 정리
경제: 규제혁신, 수출 확대, 첨단산업 육성
일자리: 청년·여성 일자리 확대, 노동시장 개혁
저출산 대응: 양육·교육비 경감, 연금제도 보완
지역균형: 지방투자 확대, 교통·SOC 확충
과학기술: AI·반도체 육성, R&D 투자 확대
교육: 대입제도 개선, 글로벌 인재 육성
복지: 기초생활보장 확대, 의료서비스 강화
공정사회: 반부패 강화, 공정거래 질서 확립
정치개혁: 권력기관 개혁, 지방분권 강화
외교·안보: 한미동맹 강화, 북핵 대응
환경·에너지: 탄소중립, 재생에너지 확대
문화강국: K-콘텐츠 육성, 관광산업 활성화
국정과제
주요 과제별 핵심 포인트
경제: 민간 중심 성장, 혁신산업 투자
노동: 공정한 근로환경, 안정적 일자리 창출
복지: 사각지대 해소, 사회적 안전망 강화
외교: 실리 외교, 안보 협력 강화
문화: K-컬처 확산과 글로벌 위상 강화
국정과제가 주는 의미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과제는 단순한 정책 나열이 아니라 국가 비전을 담은 청사진입니다. 단기 성과뿐 아니라 장기적 개혁 의지가 담겨 있으며, 국민 삶의 질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국정과제는 몇 개인가요?
총 123개 세부 과제가 있으며, 12대 중점과제 아래에 배치되어 있습니다.
Q2. 국정과제는 누가 확정하나요?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와 정부 부처 협의를 거쳐 최종 확정됩니다.
Q3. 국정과제는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최종본)』 및 정부 정책포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과제는 향후 5년간 대한민국의 방향을 제시하는 나침반입니다. 경제·복지·외교·문화 전반에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가 이루어질지 주목됩니다.
마무리
이렇게 이재명 정부의 국정운영 5개년 계획, 국정과제를 알아봤습니다. 새 정부의 정책 방향과 중점 정책을 알려면 국정과제를 훑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