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수의계약 낙찰자 선정(feat.소액수의, 나라장터)공공계약 2024. 11. 8. 18:17
수의계약이란? (feat. 국가기관 담당자, 2인 이상 견적) 수의계약이란? (feat. 국가기관 담당자, 2인 이상 견적)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모든 일을 직접 처리하지 않고 일을 맡기고 계약해서 각종 일들을 처리하듯이, 국가기관도 다양한 업체와 계약을 통해서 각종 용역, 공사 등의 업무를 처리한다. 이번 포lee-v.com 추정가격(feat. 복수 예비가격, 예정가격, 낙찰하한가) 추정가격(feat. 복수 예비가격, 예정가격, 낙찰하한가)국가기관 계약 담당자로서 공공계약 공고 및 입찰을 처음 진행할 때, 가장 생소한 것은 여러 ‘가격’들이 있다는 것이다. 겉으로 봤을 때 대동소이 해보지만, 가격의 뜻들은 각기 다른 의미를lee-v.com1. 개요소액수의 수의계약(2인 이상 견적제출 방식)은 절차상 간..
-
추정가격(feat. 추정금액, 복수 예비가격, 예정가격, 낙찰하한가)공공계약 2024. 11. 1. 19:54
공공계약 실무를 처음 맡게 되면, 가장 헷갈리는 것 중 하나가 바로 ‘가격’ 개념이다.입찰공고 하나 작성하려고 보니 추정가격, 기초금액, 예정가격, 낙찰하한가…뭐가 뭔지 다 비슷해 보이지만, 사실 각각 다른 의미를 가진다.🔍 이 글에서는 계약 담당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가격’ 개념을 쉽게 정리해보겠다.읽고 나면 여러분도 더 이상 입찰 가격을 보고 헤매지 않을 것이다! 협상에 의한 계약이란?(feat.제한경쟁) 협상에 의한 계약이란?(feat.제한경쟁)나라장터 공고를 보다보면, 계약방법에 제한(협상에의한계약) 이라는 입찰방법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제한경쟁은 무엇이고 협상에 의한 계약은 무엇일까 ?관련 법규와 정의를 살펴보면서, 제lee-v.com수의계약이란? (feat. 국가기관 담당자, 2인 이상..
-
협상에 의한 계약이란?(feat.제한경쟁, 협상에 의한 계약 적용하는 경우)공공계약 2024. 10. 27. 10:47
제한경쟁과 협상에 의한 계약 나라장터에서 입찰 공고를 보다 보면 "제한(협상에 의한 계약)"이라는 문구를 자주 보게 된다."이게 뭔데?" 싶다면, 이미 당신은 계약 실무의 길에 발을 들인 것이다.🚀 오늘은 제한경쟁과 협상에 의한 계약, 이 두 마법 같은 계약 방식에 대해 깔끔하고 재치 있게 정리해 보겠다.1. 제한경쟁 – 입찰 참가자의 문턱을 올려라!💡 입찰은 원래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게 원칙이다. 하지만 모든 계약을 그렇게 진행하면?🚧 기술력 없는 업체가 고속철도 시스템을 유지보수하겠다고 나설 수도 있고, 문화재 복원을 한 번도 해본 적 없는 회사가 유찰될 때까지 도전할 수도 있다.그래서 등장한 게 바로 제한경쟁입찰!📌 정의계약의 목적과 성질을 고려하여 특정 요건을 갖춘 업체만 입찰에 참가할..
-
공사 계약이란? (Feat. 레고)공공계약 2024. 10. 22. 21:52
공사 계약 실무 – 국가기관 담당자를 위한 A to Z국가기관에서는 매년 다양한 건설공사를 발주한다. 명비(銘碑) 건립부터 건물 유지보수까지 공사의 종류도 다양하다. 하지만 건축·건설 전문가가 아닌 담당자가 처음 공사 계약을 맡게 되면 막막한 것이 현실이다.실제로 공사 계약 실무를 맡아보면 수많은 법령과 절차, 감사 리스크까지 고려해야 할 사항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그러나 공사 계약의 흐름을 이해하고 주요 개념을 익혀두면 업무가 훨씬 수월해진다.📌 이 글을 끝까지 읽으면?✔ 공사 계약의 기본 개념과 절차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수의계약과 입찰의 차이를 명확히 알 수 있다.✔ 감사에서 문제되지 않는 공사 계약 실무 노하우를 익힐 수 있다. 1. 공사 계약이란? (건설공사의 정의)공사 계약은 「건설산..
-
수의계약이란? (feat. 감사지적, 국가기관 담당자, 2인 이상 견적)공공계약 2024. 10. 20. 14:22
국가기관 수의계약 – 실무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가이드국가기관도 우리 일상과 마찬가지로 모든 업무를 직접 수행하지 않고, 다양한 계약을 통해 일을 처리한다. 그중에서도 실무자가 가장 자주 접하는 계약 방식이 **수의계약(隨意契約)**이다.수의계약은 담당자 입장에서 편리하지만, 감사의 단골 타겟이 되기도 한다. 잘못 처리하면 “공정성 문제”라는 딱지가 붙기 쉽다. 이번 글에서는 수의계약의 개념부터 법적 근거, 절차, 유의사항까지 핵심만 쏙쏙 정리해 보겠다.📌 이 글을 끝까지 읽으면?✔ 수의계약이 뭔지 확실히 이해할 수 있다.✔ 감사에서 걸리지 않는 계약 진행법을 알 수 있다.✔ 공무원이 꼭 알아야 할 법적 근거와 실무 포인트를 체크할 수 있다. 1. 수의계약이란? (입찰과의 차이점)모든 계약의 원..